백엔드 Basic트랙(node.js)

Node.js 백엔드 부트캠프 할까말까 할 때 보는 후기

2025년 2월 26일

Node.js 백엔드 부트캠프, 선택 전 필독

백엔드 개발자로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백엔드 부트캠프가 얼마나 도움이 될지 고민해 보셨을텐데요!
이 글에서는 Spring 백엔드 부트캠프 보다 Node.js 백엔드 부트캠프가 더 적합한 유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백엔드 부트캠프에서 Node.js보다 Spring이 많은 이유?

Node.js 백엔드 부트캠프를 찾다 보면 Spring 기반의 부트캠프가 훨씬 많다는 걸 느낄 수 있는데요.
왜 그럴까요? 단순히 "Spring이 더 유명해서?" 아닙니다.

사실 그보다는 채용 시장, 기술 생태계, 교육 인프라 차이 때문이라고 보는 게 더 맞다. 하나씩 살펴볼까요?

채용 시장: Java(Spring) 백엔드 개발자의 수요가 더 많다

기업들이 원하는 백엔드 개발자는 대부분 Java(Spring) 기반인데요.

  • 대기업 및 금융권 → Spring 기반의 엔터프라이즈 환경을 선호

  •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 Node.js도 사용하지만, 여전히 Java(Spring)가 많음

실제 채용 공고 비교

  • Spring 백엔드 개발자 채용 공고: 많음 (대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다양)

  • Node.js 백엔드 개발자 채용 공고: 스타트업 중심, 상대적으로 적음

부트캠프 입장에서는 취업률을 고려해야 하므로, 수요가 많은 Spring 기반 과정이 많아질 수밖에 없죠.

Java(Spring)는 오래된 반면, Node.js는 상대적으로 최신 기술

Spring은 20년 이상 축적된 기술 스택이고, Java 기반 백엔드 개발자는 꾸준히 많았기 때문에
여러 교육기관의 커리큘럼이 꽤 안정적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반면, Node.js는 2009년 등장했고, 백엔드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최근 5~10년 사이이기 때문에
교육 인프라(교재, 강사진, 커리큘럼)가 Spring보다 부족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Node.js 백엔드 부트캠프는 의미가 없을까?

전혀 그렇지 않다!

Node.js는 여전히 스타트업, 실시간 서비스(WebSocket),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에서 강점이 있어,
즉, "어떤 기업에서 일하고 싶은가?"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Spring을 배우면 채용 시장에서 더 유리 (특히 대기업/중견기업)
Node.js를 배우면 빠르게 성장하는 스타트업에서 기회가 많음

Node.js 부트캠프, 왜 선택했을까?

백엔드 개발자로 취업을 준비 중이라면 한 번쯤 이런 고민 해봤을 거다.

"독학으로 공부하다가 한계를 느꼈다."
"프론트엔드만 하다가 백엔드로 전향하려는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
"실무에서 쓰는 기술을 배우고 싶은데, 프로젝트 경험이 부족하다."

백엔드 개발은 단순히 코드를 짜는 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설계부터 API 개발, 배포까지 신경 써야 할 게 많다.
그래서 독학만으로는 체계적으로 배우기 힘든 게 사실이다.


부트캠프에서 진행한 프로젝트 (실제 사례)

부트캠프에서는 실무에서 다룰 법한 프로젝트를 직접 기획하고 개발했다.
그중 하나가 바로 반려동물 커뮤니티 & 지도 서비스였다.

프로젝트 개요

핵심 기능

  • 커뮤니티: 유저 간 소통, 인기글/최신글 정렬, 게시글 검색 기능

  • 지도 서비스: 반려동물 출입 가능 장소 제공, 필터링 기능

  • 실시간 채팅: WebSocket을 활용한 '산책Mate' 기능

사용 기술

  • 백엔드: Node.js, Express, Redis, WebSocket

  • 데이터베이스: MySQL, MongoDB, ERD 설계

  • API 문서화: Swagger 활용

단순 CRUD가 아니라, 실무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면서 실전 감각을 익혔다.

현직자의 피드백: 실무에서도 인정받은 프로젝트 경험

부트캠프가 끝난 후, 현직자의 피드백을 받았다.
이게 꽤 도움이 됐는데, 특히 실무에서 중요하게 보는 포인트를 알게 됐다.

"Redis 세션 스토리지 활용이 인상적이었다."

백엔드 개발에서 중요한 게 **확장성(Scalability)**이다.
우리는 Redis를 활용해서 세션을 저장하는 구조를 만들었고, 이 점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현직자의 조언:
"나중에 Redis PubSub을 활용하면 다중 서버에서도 WebSocket을 공유할 수 있어요. 이 부분까지 고려하면 더욱 실무에 가까운 구조가 됩니다!"

"WebSocket을 이용한 실시간 채팅 기능이 돋보였다."

산책Mate 기능을 개발하면서 WebSocket을 이용한 실시간 채팅을 구현했다.
처음엔 CORS 문제 때문에 Cookie 전달이 안 돼서 애를 먹었는데, 결국 Nginx 설정을 추가해서 해결했다.

현직자의 조언:
"Socket 통신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직접 해결한 점이 좋았어요. 이런 경험이 실무에서도 큰 도움이 될 겁니다."

"단순 기능 구현이 아니라, 문제 해결력이 돋보였다."

프로젝트를 하면서 여러 문제를 만났지만, 해결하는 과정 자체가 큰 배움이었다.
위치 정확도 문제 해결 (Geolocation API 옵션 조정)
WebSocket 연결 유지 문제 해결 (소켓 ID 유지)

현직자의 조언:
"기능을 그냥 구현하는 게 아니라, '왜 이렇게 만들었는지' 고민하는 게 중요해요. 이 자세를 계속 유지하세요!"

부트캠프 후, 뭐가 달라졌을까?

부트캠프 수료 후, 참가자들의 가장 큰 변화는 백엔드 개발자로서의 자신감이 생겼다는 점이다.

Node.js 백엔드 개발자로서 API 설계 및 DB 구축 경험 확보
팀 프로젝트를 통해 협업 경험을 쌓고 Git, Swagger 등 실무 도구 활용
실전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포트폴리오 완성

이제는 "내가 직접 만든 프로젝트가 있다"는 게 엄청난 강점이 됐다.

Node.js 백엔드 부트캠프, 누구에게 추천할까?

부트캠프가 누구에게나 정답은 아니다. 하지만 이런 사람들에게는 확실히 도움이 될 거다.

독학에 한계를 느끼고 실무 프로젝트 경험이 필요한 사람
Node.js를 활용한 백엔드 개발자로 취업하고 싶은 사람
팀 프로젝트와 실무 협업 경험을 쌓고 싶은 사람

부트캠프 수료 후에도 지속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 개인 프로젝트를 하면서 실력을 유지하기

  • 오픈소스 기여나 사이드 프로젝트로 포트폴리오 강화하기

  • 실무에서 쓰이는 추가 기술 (Docker, Kubernetes 등) 학습하기

결론: Node.js 백엔드 개발자로 성장하고 싶다면, 부트캠프 경험을 적극 활용하자! 🚀

마무리: 나는 지금, 준비된 백엔드 개발자인가?

백엔드 개발자로 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 내가 가진 경험을 어떻게 포트폴리오로 만들지 고민해 보자.

"내가 만든 프로젝트를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기능을 단순 구현한 게 아니라, 문제 해결 과정까지 설명할 수 있을까?"

이 두 가지 질문에 답할 수 있다면, 이미 취업 경쟁력은 갖춰진 거다.
Node.js 백엔드 부트캠프가 그 과정에서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스스로 판단해 보자!


가장 빠른 개강 안내는? 사전 알림 신청!

신입 백엔드 개발자 성공적인 커리어를 시작하고 싶다면, 지금이 기회입니다.

사전 알림 신청하기

어려운 취업 시장에서 기본기 탄탄한 이론부터 포트폴리오 전략은 이제 필수입니다. 엘리스트랙과 함께 준비하세요! 💪

(주) 엘리스그룹 |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433 (역삼동, 세방빌딩) 6층,16층

대표자 김재원 |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2022-서울강남-04515호 | 사업자등록번호 581-88-00303 | 전화 1833-6068 | 이메일 kdt@elice.io

Copyright ⓒ 2025 elice. All rights reserved.

(주) 엘리스그룹 |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433 (역삼동, 세방빌딩) 6층,16층

대표자 김재원 |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2022-서울강남-04515호 | 사업자등록번호 581-88-00303 | 전화 1833-6068 | 이메일 kdt@elice.io

Copyright ⓒ 2025 elice. All rights reserved.

(주) 엘리스그룹 |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433 (역삼동, 세방빌딩) 6층,16층

대표자 김재원 |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2022-서울강남-04515호 | 사업자등록번호 581-88-00303 | 전화 1833-6068 | 이메일 kdt@elice.io

Copyright ⓒ 2025 elice. All rights reserved.

(주) 엘리스그룹 |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433 (역삼동, 세방빌딩) 6층,16층

대표자 김재원 |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2022-서울강남-04515호 | 사업자등록번호 581-88-00303 | 전화 1833-6068 | 이메일 kdt@elice.io

Copyright ⓒ 2025 elice. All rights reserved.

우수 프로젝트

우수 프로젝트

우수 프로젝트

우수 프로젝트